반갑다 강달러…美 달러 선물 ETF 수익률 10%

반갑다 강달러…美 달러 선물 ETF 수익률 10%

최고관리자
견고한 미국 경제·트럼프 관세 부과 가능성에
미국 달러 강세 부추겨···“금리 인하 시 완화”

[서울경제]

이달 들어 미국 달러 선물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이 고공행진 중이다. 미국 경제가 견고히 성장하는 데다가, 11월 대선을 앞둔 불확실성이 유입되며 원·달러 환율이 반등하면서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TIGER 미국 달러 선물 레버리지가 이달 들어 10.37% 상승했다. KODEX 미국 달러 선물 레버리지(10.03%), KOSEF 미국 달러 선물 레버리지(9.47%)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레버리지가 아닌 일반 상품인 KOSEF 미국 달러 선물(5.10%), KODEX 미국 달러 선물(4.96%) 등도 양호한 성적을 냈다.

달러 선물 ETF가 오르는 건 원·달러 환율이 이달 들어 오름세를 보이면서다. 이들 ETF는 미국 달러 선물 지수를 기초로 삼아 달러화 가치의 상승에 따라 수익을 내는 구조를 갖는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8일 오후 3시30분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69.70원에 거래됐다. 지난달 30일(1307.80원)과 비교하면 61.90원(4.73%) 올랐다.

달러 강세 배경으로는 미국 경제의 견고한 성장이 꼽힌다. 지난 4일 발표된 고용 지표가 호조세를 보이자 시장에서는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가시고 연착륙이 아닌 ‘노 랜딩(No Landing·연착륙 없음)’ 전망까지 나온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국 경제가 (타 국가 대비) 견고하면서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 달 있을 미국 대선도 달러 강세를 부추기는 요인이다. 미국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박빙 승부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안전 통화인 달러화 수요가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당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관세 부과로 인해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인플레이션 우려 등이 이어졌고 미국 환율에 상승 압력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11월과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사이클이 유효한 만큼 달러의 상승 압력을 완화해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Chat ×
×

현재 로그인 회원

번호 이름 위치
현재 접속자가 없습니다.
×

가입신청 회원

번호 아이디 이름 전화번호 가입일시
승인하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