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환원 질적부분 고려되지 않아"…밸류업 지수에 주어진 숙제는?

"주주환원 질적부분 고려되지 않아"…밸류업 지수에 주어진 숙제는?

최고관리자
iM증권은 정부가 내놓은 밸류업지수가 코스피200 대비 저조한 배당수익률을 보인다며 주요주주환원 지표가 아쉽다고 25일 분석했다. 편입된 기업 중에서는 주주환원 또는 수익성과 거리가 먼 종목들도 다수 포진했다고 설명했다.

신희철 iM증권 연구원은 "정부가 발표한 밸류업지수의 주요 편입요건은 대표성(시가총액), 수익성(당기순이익), 주주환원(배당지급/자사주소각여부), PBR(주가순자산비율), ROE(자기자본이익률) 등이었다"며 "결과적으로 밸류업지수는 코스피200과 비교했을 때 배당성향은 소폭 상회했지만, 배당수익률은 저조한 모습을 보이는 등 기대보다 아쉬웠다"고 설명했다.

신 연구원은 밸류업지수가 배당유무만을 고려하다보니 배당수익률이나 배당성향은 고려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세부편입요건 중 주주환원조건에서는 최근 2년 연속 배당을 지급하거나 자사주를 소각한 기업은 배당의 정도와 무관하게 주주환원조건을 통과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배당수익률이 2%를 하회하는 종목이 53개로 과반을 차지했고, 배당성향이 20%를 하회하는 종목수 비율도 54%로 나타났다.

그는 "Yes 또는 No라는 이분법적인 주주환원 척도로 인해 주주환원의 질적 부분은 고려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고PBR 종목들이 지수에 편입됐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PBR은 ROE와 PER(주가수익비율)을 곱한 값으로 일정수준 이상의 PBR을 가진 기업이 우수기업일 수는 있지만, 현재 밸류업지수 내에 PBR 4배 이상인 기업의 개수가 17개로 아웃라이어로 볼 수 있을만한 기업들도 선정됐다고 분석했다.

과거 데이터값에 의존하다 보니 미래성장성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도 개선할 부분으로 꼽았다. 금융업종 중에서 KB금융, 삼성생명과 같이 주요요건을 모두 만족했음에도 2022년부터 2023년 낮은 PBR을 기록했던탓에 지수에 편입되지 못했다.

신 연구원은 "밸류업 종목 선정 기준은 과거 데이터만을 기준으로 종목을 선정하는 경우가 있어 현재 시장상황을 잘 대변하지 못하거나 주요 종목이 미포함되는 경우가 발생했다"며 "수익성 측면에서도 과거 적자 여부만 판단하며 성장성이 고려되지 않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올해 당기순이익 기준 역성장이 전망되는 기업 개수는 17개이고, 성장률 20%를 하회하는 종목수 비율도 42% 수준"이라고 밝혔다.
Chat ×
×

현재 로그인 회원

번호 이름 위치
현재 접속자가 없습니다.
×

가입신청 회원

번호 아이디 이름 전화번호 가입일시
승인하러가기